숭실대 동기인 박병진(34·왼쪽), 양형석(33·오른쪽) 씨는 졸업 직후 ‘제2의 백종원’을 꿈꾸며 의기투합했다. 2013년 12월 서울 상도동 숭실대 근처에서 종잣돈 5500만원으로 김치찌개 전문점 ‘백채’를 열었다. 장사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상도동 맛집으로 입소문이 났다. 지인과 단골손님들이 점포를 내고 싶다고 문의해왔다. 일단 가맹점을 내주면서 비용을 최대한 줄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이렇게 하나둘씩 늘어난 가맹점이 5년 새 150개가 됐다. 수도권에만 130개 가게가 있다. 이들은 백채의 성공을 발판으로 스터디카페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가맹점과 상생 경영 펼치는 백채
백채를 운영하는 법인 심플맨은 박 대표와 양 대표가 각각 37.5%의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백채 가맹점이 크게 늘어난 데는 두 청년 최고경영자(CEO)의 상생경영 의지가 한몫했다. 로열티를 매출에 연동시키지 않고, 한 달에 20만원만 받기로 한 것이 컸다.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백채 김치찌개를 하면 같은 매출을 올려도 다른 체인점보다 더 벌 수 있다”는 이야기가 퍼졌다.
종잣돈 5500만원으로 시작, 1년 만에 대박
식자재 단가 낮추고 가맹점과 상생 전략
숭실대 동기인 박병진(34·왼쪽), 양형석(33·오른쪽) 씨는 졸업 직후 ‘제2의 백종원’을 꿈꾸며 의기투합했다. 2013년 12월 서울 상도동 숭실대 근처에서 종잣돈 5500만원으로 김치찌개 전문점 ‘백채’를 열었다. 장사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상도동 맛집으로 입소문이 났다. 지인과 단골손님들이 점포를 내고 싶다고 문의해왔다. 일단 가맹점을 내주면서 비용을 최대한 줄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이렇게 하나둘씩 늘어난 가맹점이 5년 새 150개가 됐다. 수도권에만 130개 가게가 있다. 이들은 백채의 성공을 발판으로 스터디카페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가맹점과 상생 경영 펼치는 백채
백채를 운영하는 법인 심플맨은 박 대표와 양 대표가 각각 37.5%의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백채 가맹점이 크게 늘어난 데는 두 청년 최고경영자(CEO)의 상생경영 의지가 한몫했다. 로열티를 매출에 연동시키지 않고, 한 달에 20만원만 받기로 한 것이 컸다.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백채 김치찌개를 하면 같은 매출을 올려도 다른 체인점보다 더 벌 수 있다”는 이야기가 퍼졌다.
기사전문보기>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50310711